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서빙로봇 관련 대장주 분석 및 시장 전망

by ⨊²⨝⩑⩤⩫ 2025. 2. 20.

서빙로봇 관련 대장주 분석 및 시장 전망

서빙 로봇 시장은 자동화 기술 발전 덕분에 비대면 서비스와 인건비 상승에 대응하기 위한 전략으로 빠르게 확산되고 있습니다. 특히 식당, 호텔, 병원, 카페 등 다양한 업종에서 서빙 로봇이 도입되면서 우리 주변에서도 쉽게 볼 수 있게 되었는데요. 관련 기업들의 주가도 주목받고 있으니 서빙로봇 관련 대장주를 알아봅니다. 

국내 서빙 로봇 관련주 분석 및 대장주 확인

 

서빙 로봇 산업이 급성장하면서 다양한 기업들이 관련 사업을 확장하고 있습니다. 국내 서빙 로봇 시장의 가장 선두는 LG전자를 꼽아볼 수 있는데요. 국내 대기업 중 가장 적극적인 서빙 로봇 사업을 확대하고 있으며 주요 호텔과 병원 및 대형 프렌차이즈 중심으로 보급을 확대하고 있습니다. 

1. LG전자 (066570)

  • 주요 제품: CLOi ServeBot (LG 클로이 서브봇)
  • 특징: 자율주행 및 장애물 회피 기능을 탑재한 서빙 로봇으로 호텔, 병원, 식당 등에 공급
  • 투자 포인트: 국내 대기업 중 서빙 로봇에 적극적인 투자 진행

2. 인탑스 (049070)

  • 주요 제품: 베어로보틱스의 서빙 로봇 위탁 생산
  • 특징: LG전자의 투자를 받아 서빙 로봇 생산량 증가
  • 투자 포인트: 서빙 로봇 산업 확산에 따른 수혜 기대와 함께 최근 6개월간 상승세를 유지하다가 최근 하락 조정 중. 안정적인 현금흐름과 높은 수익성으로 사업 확장 가속화 가능성 있음.

 

 

3. 유진로봇 (056080)

  • 주요 제품: GoCart (서빙 로봇)
  • 특징: 로봇 청소기뿐만 아니라 서비스 로봇 시장으로 확장 중
  • 투자 포인트: AI 기반 자율주행 서빙 로봇 개발 확대로 산업용과 상업용 시장 확장 중이나 주가 변동폭이 큰 편이고 단기 투기적 움직임도 보임. 국내 가장 오래된 로봇 기업 중 하나이며 정부 정책 및 스마트 팩토리 확산 수혜 가능성 존재.

4. 뉴로메카 (348340)

  • 주요 제품: 협동 로봇 기반 서빙 로봇
  • 특징: 산업용 로봇에서 서비스 로봇으로 사업 확장
  • 투자 포인트: 스마트 레스토랑, 카페, 공공기관에 AI 및 로봇 자동화 솔루션 공급 강화. 매출 증가 추세이지만 영업 적자 이어지는 중으로 연구개발 비용 증가 측면이라면 장기적 성장 기대와 삼성이나 현대 등 대기업과의 협업 가능성. 성장세가 빠른 추세이고 단기 변동성이 큰 편이라 장기적 투자 관점 접근.

 

5. 로보티즈 (108490)

  • 주요 제품: 로봇 구동 부품 및 서빙 로봇용 모터
  • 특징: 서빙 로봇 및 산업용 로봇에 사용되는 핵심 부품 제조
  • 투자 포인트: 자율주행 기술을 활용한 다양한 로봇 제품 개발로 최근 매출 증가에도 수익성이 낮은편이나 부채 비율 낮고 재무구조는 안정적임.

해외 서빙 로봇 관련주 분석 및 대장주

해외에서도 마찬가지로 서빙 로봇 시장은 급속도로 성장하고 있습니다. 이미 상장된 회사도 있지만 비상장인 기업들도 눈여겨 볼 필요가 있겠습니다. 

1. 아이로봇 (iRobot, IRBT, 미국)

  • 주요 제품: 로봇 청소기 및 AI 기반 서비스 로봇
  • 특징: AI, 자율주행 기술을 활용한 스마트 홈 및 서비스 로봇 개발
  • 최근 6개월 주가 변동: 5.83달러 → 10.06달러 (약 80% 상승)
  • 투자 포인트: AI 및 스마트 로봇 시장 확장 기대

2. 푸두로보틱스 (Pudu Robotics, 중국, 비상장)

  • 주요 제품: BellaBot, KettyBot, HolaBot
  • 특징: 글로벌 서빙 로봇 시장 점유율 1위 기업
  • 투자 포인트: 글로벌 시장 확장 및 AI 기술 도입

3. 나브야 (Navya, NVYAF, 프랑스)

  • 주요 제품: 자율주행 셔틀 및 물류 로봇
  • 특징: 서빙 로봇보다는 물류 및 공항·산업용 로봇에 강점
  • 최근 6개월 주가 변동: 0.0001달러 (거래 정지 상태)
  • 투자 포인트: 현재 투자 리스크가 높은 기업

4. 소프트뱅크 로보틱스 (SoftBank Robotics, 일본, 비상장)

  • 주요 제품: Whiz (청소 로봇), Pepper (소셜 로봇)
  • 특징: 서빙 로봇보다는 고객 맞이 안내서비스 로봇 및 청소 로봇 시장에 집중하고 있어 방향성 차별화
  • 투자 포인트: 일본 및 글로벌 호텔, 레스토랑, 은행 등 공공장소 중심으로 확장

국내 서빙 로봇 시장 성장 전망

  • 2021년: 약 900억 원
  • 2023년: 약 1,300억 원
  • 2024년: 약 2,700억 원 예상으로 3년 만에 3배 성장으로 향후 지속적인 가능성이 높습니다. 

1. 서빙 로봇의 보급 속도 가속화

  • 현재 국내 외식업체 및 호텔의 10% 이상이 서빙 로봇을 도입한 것으로 추정.
  • 2025년까지 30~40% 이상의 사업장에서 서빙 로봇을 활용할 것으로 전망.

2. 렌탈 시장 확대

  • 기업들이 초기 도입 비용 부담을 줄이기 위해 렌탈 서비스를 적극 도입할 것으로 예측하고 있음.
  • 렌탈 모델 확산으로 중소형 자영업자들도 쉽게 서빙 로봇을 도입이 가능해지면서 시장 확산.

3. AI & IoT 기술 접목

  • 향후 AI 기반 음성 인식, IoT 연동, 스마트 오더 시스템과의 통합이 주요 트렌드가 될 전망.
  • 서빙뿐만 아니라 음식 추천과 고객 맞춤형 서비스까지 자동화 가능성이 커짐.

4. 서빙 로봇의 다양한 산업 확장

  • 기존 식당 및 카페 외에도 병원, 공항, 오피스, 백화점 등 다양한 공간에서 서빙 로봇이 도입될 것으로 예상됨.
  • 자동 배송 로봇과 연계한 신규 비즈니스 모델 등장 가능성 있음.

5. 국내 저가형 서빙 로봇 업체의 성장

우리로봇 서빙고: 국내 식당과 카페 등에 저렴한 가격으로 보급되고 있어 중소형 매장에서도 쉽게 도입할 수 있는 수준의 서빙로봇을 납품.

로보와이드 RW-Servebot: 중소기업의 저가형 서빙로봇으로 주로 중소형 사업장을 대상으로 로봇 임대 및 판매.

트위니 TARGO 시리즈: 소형 식당과 스타트업을 타겟 시장으로 국내외 시장에 저렴한 가격으로 보급.

가격 경쟁력을 갖추고 있어 빠른 확산이 가능한만큼 아직까지는 시장 점유율을 확인하기 어렵지만 향후 성장세를 지켜볼 필요가 있음.

결론

국내 서빙로봇 시장은 연평균 20% 이상의 성장세를 보이고 있으며 2025년 이후에도 지속적인 상승이 전망되고 있습니다. 정부에서도 첨단 로봇 산업을 전략적으로 육성계획 하고 있기도 하고 스마트 레스토랑이나 로봇 관련 세금 감면 혜택 등을 지원하려는 움직임도 있습니다. 향후 서빙로봇 관련주나 대장주 움직임을 눈여겨 봐야겠습니다.